‘한국연극의 과거, 현재, 미래’ 포스터

‘2020 연극의 해’는 10월 25일부터 11월 1일까지 약 일주일을 집중사업기간으로 지정하고 관객들을 만난다. 집중사업기간은 ‘2020 연극의 해’가 한국연극사를 재조명하는 ‘한국연극의 과거, 현재, 미래’ 사업과 다양한 연계 사업들이 대학로 곳곳에서 진행된다.

한국연극의 과거, 현재, 미래 사업은 3가지로 나뉜다. 공연 형태인 ‘언도큐멘타: 한국연극 다시 써라’(이하 언도큐멘타), 학술 행사인 ‘한국연극 다시 읽기’, 저술사업인 ‘한국 근현대 연극사 새로 쓰기’다.

언도큐멘타는 한국연극 역사 안에서 배제됐던 사각지대를 통해 연극 역사를 재방문한다. 연극은 한 세대의 비전을 구체화하는 특정 시대의 중요한 기록이다. 그러나 비주류, 소수, 검열, 지역주의 등을 이유로 연극사 밖으로 밀려난 연극들도 존재한다. 이번 공연은 이러한 연극의 역사화 과정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한국 연극계에 내재돼 있는 연극의 위계를 성찰하고 미래를 위한 폭넓은 관점을 상상하게 하는 연극사에 중요한 변곡점이 될 것이다.

언도큐멘타는 평론가 김방옥이 구성하고, 박근형이 연출한다. 1900년대부터 현재까지 언도큐멘트된 작품들 가운데 문제작이나 제대로 조명되지 못했던 작품들을 소환해 대표 장면을 낭독극, 렉처 퍼포먼스(Lecture Performance), 인터뷰, 퍼포먼스와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풀어 하나의 공연을 만든다. 출연진은 고수희, 김명수, 서이숙, 이대연, 장영남을 필두로 연극계 대표 배우와 연출가, 연극인 총 25인이 한 무대에 오른다.

이들이 선보이는 한국연극사는 10월 31일 토요일 오후 7시, 11월 1일 일요일 오후 7시 이틀간 만나볼 수 있다. 10월 31일은 온라인 중계로, 11월 1일은 온라인 중계와 오프라인 공연을 함께한다. 티켓 오픈은 10월 21일 아르코, 대학로예술극장을 통해 진행된다.

◇다시 읽고 새로 쓰는 한국 근현대 연극사, ‘2020 연극의 해’부터 3년간 집필

한국연극의 과거, 현재, 미래 사업 가운데 학술 사업인 ‘한국연극사 다시 읽기’는 2020 연극의 해 집행위원회와 한국연극학회가 함께 기획한 추계 학술 심포지엄으로 한국연극의 어제와 오늘을 돌아보고 미래를 준비하는 작업이다. 한국연극사의 대표적 ‘정전’으로 간주돼 온 저술들을 비판적 시각으로 연구해 기존 연극사의 문제점들을 확대 조명한다. 아울러 한국의 대표적 국공립 극장들의 실태와 문제점을 진단한다. 이번 심포지엄은 2020년 10월 31일 토요일 오전 10시 30분부터 오후 6시까지 예술가의 집 다목적홀과 세미나실 1, 2에서 진행된다.

저술 사업인 ‘한국 근현대 연극사 새로 쓰기’는 10월 31일부터 3년간 진행되는 사업으로 2020 연극의 해를 통해 새로운 한국(근현대) 연극사 저술을 시도한다는데 의미가 깊다. 기존 한국 근현대 연극사의 선구적 업적을 남긴 저서들이 있지만, 2020년 현재 관점에서는 몇 가지 아쉬운 부분들이 존재한다. 새로운 한국연극사는 시기 구분에서부터 장르와 형식 구분, 중요한 흐름과 주요 작품들의 선별, 개별 작품들의 해석에 이르기까지 균형 잡힌 연극사를 목표로 한다. 한국 근현대 연극사 새로쓰기는 2020년 10월 31일 오후 7시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에서 언도큐멘타 공연 전 공식 사업 발표를 진행한다.

◇2020 연극의 해, 집중사업주간 맞아 드디어 ‘관객’ 만난다… 10월 25일부터 11월 1일까지 연계 사업 대면 진행

건강한 생태계 조성, 지속가능한 생태계, 관객 소통의 다변화를 목표로 14가지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2020 연극의 해가 집중사업주간을 맞이해 다양한 방식으로 연계 사업을 진행한다.

대학로 일대에서 연극의 해의 주요 사업 관련 프로그램 진행함으로써 각 사업들을 공론화하고 지속해서 사업으로 안착하는 계기를 마련하는 데 목표가 있다.

10월 25일~11월 1일까지 집중사업주간에 참여하는 사업은 △장애인의 공연장 내 재난대피 가이드 및 훈련 프로그램 워크숍 △전국 청년 연극인 콜로키움 △전국 연극인 젠더감수성 워크숍 △한국공연예술자치규약(KTS)의 전시 프로그램 △연극인공감120 사업의 찾아가는 상담소 △연극인 일자리 매칭 앱 시연회 △연극 해설사(도슨트) 프로그램이다.

◇‘한국연극의 과거, 현재 미래’ 사업 개요

- 주최: 2020 연극의 해 집행위원회

- 후원: 문화체육관광부

△언도큐멘타: 한국연극 다시 써라

- 일시: 2020년 10월 31일 토요일 오후 7시 (언론 및 관계자 대상), 11월 1일 일요일 오후 7시 (관객 대상)

- 장소: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 구성: 김방옥

- 연출: 박근형

- 출연: 강지은, 고수희, 김동원, 김명수, 김정, 김정호, 김주완, 김홍택, 서이숙, 성노진, 손진환, 이대연, 이주영, 장영남, 정경순 외

- 공동 주최: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예매: 아르코·대학로예술극장(http://theater.arko.or.kr)

△학술행사: 한국연극사 다시 읽기

- 일시: 2020년 10월 31일 토요일

- 시간: 오전 10시 30분~오후 6시

- 장소: 예술가의 집 다목적홀, 세미나실 1, 2

- 공동 주최: 한국연극학회

- 후원: 한국연구재단

△저술사업: 한국 근현대 연극사 새로 쓰기

- 사업 발표: 2020년 10월 31일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오후 7시

- 사업 기간: 2020년 10월 31일부터 약 3년간

△2020 연극의 해 집중사업주간 연계사업진행

- 일시: 2020년 10월 25일 일요일~11월 1일 일요일

- 사업: 장애인의 공연장 내 재난 대피 가이드 훈련 프로그램 워크숍, 전국 청년 연극인 콜로키움, 한국공연예술자치규약(KTS) 전시, 연극인공감120 찾아가는 상담소, 연극인 일자리 매칭 앱 시연회, 연극해설사(도슨트) 프로그램, 전국 연극인 젠더감수성 워크숍

◇‘언도큐멘타: 한국연극 다시써라’ 공연 상세 소개

△공연 목적

언도큐멘타는 한국연극 역사 안에서 배제됐던 사각지대를 통해 연극 역사를 재방문한다. 만약 자기 존재의 흔적을 가장 많이 남긴 이들이 서술하는 것이 역사라면 대변 받지 못한 연극들을 어떻게 포함할 수 있을까? 비주류, 소수자, 검열 행위, 지역주의 등을 이유로 연극사 밖으로 밀려난 연극은 무엇을 나타내는가? 연극은 한 세대의 비전을 구체화하는 특정 시대의 중요한 기록이다. 그러므로 연극의 역사화 과정을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한국 연극계에 내재돼 있는 연극의 위계를 성찰하고 미래를 위한 폭넓은 관점을 상상할 수 있을 것이다.

△공연 내용

1900년대부터 현재까지 언도큐멘트된 작품들에서 한국연극의 문제 작품, 과대평가된 작품, 제대로 조명되지 못했던 작품들을 소환해 대표적 장면들을 낭독극, 렉처 퍼포먼스(Lecture Performance), 인터뷰, 퍼포먼스 등 다양한 방식으로 하나의 공연이 되도록 구성한다.

△프로그램 개요

- 일시: 2020년 10월 31일 토요일~11월 1일 일요일 2일 2회 공연

10월 31일: 관계자 대상 (연극인, 관계 기관, 프레스 관람) / 11월 01일: 관객 대상 (선착순 무료 예약)

- 장소: 아르코예술극장 대극장 (거리 두기 객석 적용 281석, 전체의 50%)

- 시간: 오후 7시(100분 이내)

- 공동 주최: 한국문화예술위원회

- 대본 구성: 김방옥

- 연출: 박근형

- 작품선정 위원: 김미도, 김방옥, 김성희, 김숙현, 노이정, 이경미, 이진아, 허순자(8인)

- 출연: 김정호(책), 김정(비평로봇), 기국서, 김원영, 정경순, 서이숙, 이대연, 김명수, 성노진, 김홍택, 김주완, 고수희, 김동원, 장영남, 이주영, 손진환

문화다방 이상한 앨리스: 윤사비나(연출, 프리젠터), 김민혜, 신소영, 김하영(영상)

프로젝트 레디메이드: 강보름 연출, 신윤지, 조연하 (영상)

0set 프로젝트: 신재 연출, 김원영

극단 놀땅: 최진아 연출, 박다미, 송치훈, 알도사리 압둘라, 이준영

극단 76: 기국서 연출

마당극패 우금치: 류기형 예술감독

- 무대 감독: 김승철

- 조명: 신호

- 영상: 김보용

- 음악: 하상철

- 분장: 이동민, 분장팀: 김다혜, 배효정, 이지선

- 조연출: 이은준, 이지혜

- 온라인 중계 동시 진행

- 수어 통역, 문자 통역 진행

한 보도자료입니다.

저작권자 © 아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